[은행FP] 제 1부 1과목 2장 자산관리기본지식 - 경제동향분석 및 예측
1. 생산물시장에서 한나라의 균형 실질 GDP와 물가가 결정되며, 이는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점에서 결정된다. 2. 재정수지 : 국채를 공개 시자엥 매각하면 국채 만기시 가계의 조세부담이 증가하므로, 그때에 대비하여 가계는 현재 소비를 줄이고 저축한다. 중앙은행이 국채를 인수하여 재정자금을 조달하면 구축효과는 일어나지 않는다. 3. 거시경제에서 단기와 장기 장기 : 노동, 자본, 기술 모두 가변적, 완전고용달성 단기 : 노동만 가변적, 가격과 임금이 경직됨 4. 총수요구성요소 : 가계의 소비지출, 기업의 투자지출, 정부의 재정지출과 조세, 순수출 5. 개방경제하의 거시 경제 모형 가계부문은 요소시장에서 자본, 노동 등 생산요소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. 가계..
2020. 10. 9.
[은행FP] 제 1부 2과목 1장 세무설계 - 소득세
1. 우리나라 소득세법은 소득원천설에 입각한 열거주의 과세방식을 택하고 있지만, 이자소득, 배당소득, 연금소득은 예외적으로 유형별포괄과세주의에 따른다. *소득원천설 : 개인사업자가 사업에 사용하던 유형자산을 매각하여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유형자산처분이익은 사업도득금액에서 제외되며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다 *소득세법은 2018년부터 6% ~ 42% (7단계)로 세법이 개정됨 2. 소득세는 종합소득, 퇴직소득, 양도소득의 3가지로 구분해 과세하고 있다. 종합소득은 이자소득, 배당소득, 사업소득, 근로소득, 연금소득, 기타소득이 있다. (양도소득 x) * 기타소득 : 상금, 현상금, 계약의 위약으로 인하여 받은 위약금, 알선수재에 의해 받은 금품, 문예창작대가로 수령한 원고료 수입, 세무사가 ..
2020. 8. 26.
[은행FP] 제 2부 1과목 2장 주식투자
1. 환율 상승 시 주가도 상승한다. (일반적으로 환율의 상승은 주식시장에 긍정적, 환율의 하락은 부정적으로 작용한다) 주가와 역 상관관계는 이자율, 물가, 금리, 원부자재가격 등이 있다. 이자율이 상승하면 요구수익률이 상승하여 자산가치를 감소시키고, 기업의 금융비용이 증가해 기업의 수익 감소와 함께 주가가 하락하게 된다. 2. 주가의 결정요인 중 기업내부요인은 양적 (매출액, 자산가치, 배당성향, 순자산액)이 있으며 질적 (노사관계, 주주현황, 기술 수준 등 수량화하기 어려운 요인들)이 있다. 기업 외부 요인 중 시장 내부요인은 투자자심리동향, 시장규제, 수급관계, 신용거래 동향, 기관투자자의 동향, 투자신탁운용상황 등이 있으며, 시장 외부요인은 경기동향, 물가, 금리, 환율, 원자재가격이 있다..
2020. 7. 20.